시적 변용에 대하여 ㅡ 1930년대 시문학파 시인 박용철의 <시론> 중 일부 > 정겨운속삭임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겨운속삭임

|
23-03-20 08:50

시적 변용에 대하여 ㅡ 1930년대 시문학파 시인 박용철의 <시론> 중 일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전 체 목 록

    박용철   시적 변용의 길


    그는 우리의 모든 체험은 피 가운데로 용해한다라고 말한다. 피 가운데로, 피 가운데로, 한낱 감각과, 한 가지 구경과, 구름같이 떠올랐던 생각과, 한 근육의 움직임과, 읽은 시 한줄, 지나간 격정이 모두 피 가운데 알아보기 어려운 용해된 기록을 남긴다라는 것이다. 그래서 그는 시는 보통 생각하는 것같이 단순히 애정이 아닌 것이다. 시는 체험인 것이다라고 말한다. 그러나 체험만으로 시는 되지 않는다. 기다림이 필요하다. “긴 생애를 두고 참을성 있게 기다리며 의미와 감미(甘味)를 모으지 아니하면 아니된다.”
    의미와 감미를 모은다는 것은 박용철에게는 기억의 행위이다. “모르는 지방의 길, 뜻하지 않았던 만남, 오래 전부터 생각하던 이별등을 기억해야만 한다. 또한 이런 기억의 행위는 곧 한 편의 시를 완성시키는 과정이기도 하다. 그래서 여러 밤의 사랑의 기억, 진통하는 여자의 부르짖음과 아이를 낳고 해쓱하게 잠든 여자의 기억들이 시인에게 필요하다. 그러나 기억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기억이 많아진 때 기억을 잊어버릴 수가 있어야한다. 그리고 그것이 다시 돌아오기를 기다리는 말할 수 없는 참을성이 있어야한다. “기억만으로는 시가 아닌 것이기 때문이다. “다만 그것들이 우리 속에 피가 되고 눈짓과 몸가짐이 되고 우리 자신과 구별할 수 없는 이름 없는 것이 된 다음이라야한 줄의 시가 만들어진다. , 기억이 기다림을 통하여 나와 일체가 될 때 시가 나온다는 것이다. 또한 그는 열 줄의 좋은 시를 다만 기다리고 일생을 보낸다면 한줄의 좋은 시도 쓰지 못하리라.”라고 말한다좋은 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무한한 고난과 수련의 길을 밟아야한다는 것이다.
    박용철은 시인은 진실로 우리 가운데서 자라난 한 포기 나무이다.”라고 말한다. 즉 시인이 뿌리를 땅에 박고 광야에 서서 대기를 호흡하는 나무로 서 있을 때만 그의 가지에서는 생명의 꽃이 핀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 꽃을 피우는 과정은 쉽지 않다. 그래서 박용철은 시인을 두고 비상한 고심과 노력이 아니고는 그 생활의 정을 모아 표현의 꽃을 피게 하지 못하는 비극을 가진 식물이다라고 말한다.
    「시적 변용의 길이라는 글에서 박용철은 시를 쓰는 과정의 구체화와 함께 시인의 자질됨을 이야기 하고 있다. 박용철에게 시는 시인의 자기완성이다. 시는 곧 시인의 삶 자체이자 유일한 목표가 되어버리는 것이다. 그래서 그는 독일의 시인 릴케의 말을 빌려 이렇게 말한다.

    “너는 먼저 쓴다는 것이 네 심령의 가장 깊은 곳에 뿌리를 박고 있는 일인가를 살펴보라. 그리고 밤과 밤의 가장 고요한 시간에 네 스스로 물어보라 - 그 글을 쓰지 않으면 너는 죽을 수밖에 없는가. 쓰지 않고는 못 배길, 죽어도 그런 내심의 요구가 있다면 그때 너는 네 생애를 이 필연성에 의해서 건설하라.” 

                                 ㅡ 박용철의 시론 중 시적 변용에 대하여(삼천리 문학. 1938)


TAG •
  • ,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목록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928 제 945회 물빛 시토론 후기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5-23 27
6927 오늘은 945회 물빛 시토론 날입니다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5-23 9
6926 내일은 945회 물빛 시토론 날입니다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5-22 13
6925 제944회 물빛 시토론 후기 사진 (이진흥 시인 문학강연)(23.5.9.화) 2 침묵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5-18 44
6924 제 944회 물빛 시토론 후기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5-09 46
6923 오늘은 944회 물빛 시토론 날입니다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5-09 33
6922 내일은 944회 물빛 시토론 날입니다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5-08 30
6921 그러니까 그 비둘기가 2 조르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5-01 111
6920 제 943회 물빛 시토론 후기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4-25 87
6919 오늘은 943회 물빛 시토론 날입니다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4-25 14
6918 내일은 943회 물빛 시토론 날입니다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4-24 42
6917 제 942회 물빛 시 토론 후기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4-11 157
6916 오늘은 942회 물빛 시토론 날입니다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4-11 31
6915 내일은 942회 물빛 시토론 날입니다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4-10 100
6914 제 941회 물빛 시토론 후기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3-28 46
6913 프랑스 시인 쟈끄 프레베르의 시와 김혜순 시인의 시 조르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3-28 46
6912 오늘은 941회 물빛 시토론 날입니다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3-28 173
6911 내일은 941회 물빛 시토론 날입니다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3-27 359
» 시적 변용에 대하여 ㅡ 1930년대 시문학파 시인 박용철의 <시론> 중 일부 1 조르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3-20 44
6909 제 940회 물빛 시토론 후기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3-14 42
6908 오늘은 940회 물빛 시토론 날입니다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3-14 68
6907 내일은 940회 물빛 시토론 날입니다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3-13 36
6906 네 안의 블루, 그랑 블루, 꽃들이 파랗더라 꽃나비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3-05 84
6905 제 939회 물빛 시 토론 후기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2-28 41
6904 오늘은 939회 물빛 시토론 날입니다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2-28 19
6903 진달래, 봄밤, 옛 그릇 꽃나비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2-27 153
6902 내일은 939회 물빛 시 토론 날입니다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2-27 25
6901 제 938회 물빛 시 토론 후기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2-14 32
6900 오늘은 938회 물빛 시토론 날입니다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2-14 252
6899 내일은 물빛 정기모임 날입니다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2-13 30
6898 제 937회 물빛 시 토론 후기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1-31 42
6897 오늘은 937회 물빛 시토론 날입니다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1-31 73
6896 2014년 어느 날, 『신화 만들기』 중에서 꽃나비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1-31 91
6895 내일은 물빛 정기 모임 날입니다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1-30 55
6894 936회 물빛정기 모임 시토론 후기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1-10 283
6893 오늘은 936회 물빛 시토론 날입니다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1-10 38
6892 내일은 물빛 정기모임 시토론 날입니다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1-09 53
6891 새해 새날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1-01 448
6890 꽃나비달, 인사 드립니다 꽃나비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2-30 232
6889 935회 시토론 안내 해안1215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2-26 82
6888 이정수 교수님 촬영 39집 출판기념회 사진 침묵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2-20 210
6887 물빛39집(잘 가라, 피아노) 출판기념회 (22.11.29) 사진 1 침묵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2-20 220
6886 제934회 시토론회 해안1215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2-13 382
6885 마당을 쓸었습니다 해안1215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2-12 53
6884 제 934회 시토론회 안내 해안1215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2-12 56
6883 물빛 동인지 39집 책 출판회 해안1215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2-12 48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