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 잘 봤습니다 > 작품을 읽고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작품을 읽고

|
01-10-08 16:34

작품 잘 봤습니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전 체 목 록
서경애님 비평 정말 고맙습니다.
아주 구체적인 부분까지 문제점을 잘 파악해 주셔서
소설 쓴 보람을 느꼈습니다.

첫번째 지적하신
장정일의 시를 인용한 건 저도 걸렸습니다.
주제의식을 좀 더 분명히 하고자 빌린 건데
좀 정직하지 못하다는 느낌이 나중에 들었습니다.


시점 이동에 대해선 1인칭 주인공 시점으로 쓴다면
굳이 들은 말이든 미루어 짐작하든 말이든
전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너무 친절하게 설명하는 것은 조금전 서경애님이
지적했듯이 작가의 드러나기가 정말
극명하게 노출되고 그러면 재미가 없어지니까요.

"아마 난 네가 아이를 낳을 때쯤이면......아이와 대면하는 것이 두렵다" 라고 했는데 여기선 '작은 따옴표가 잘못 찍힌것 같아요.
그렇군요. 이것 말고도 실수가 많습니다.
제 파일 복사해서 올린 게 여기서
편집이 안돼 다시 해야했는데
그대로 놔두어버려 보기가 불편하셨을 겁니다.

> 나는 변기 위에 앉은 채 창문에 귀를 바싹 갖다대고
> 라는 표현이 있는데 사소한 거지만 창문쪽으로 귀를 귀울였다가 맞지 않을까요?
사소한 거 아닙니다. 맞아요.

그 뒤의 지적은 해명하고 싶군요.
가난하니까 그런 정도의 불편함은 참을 수 밖에 없고 주인여자의 경우, 세를 들이기가 힘드니까 , 자신도 이사를 가기 힘드니까
현실을 참을 수 밖에 없고 그 현실을 기도와 일탈(밤외출을 하는 여자에 대해 주인공이 남편과 같은 일탈을 하고 있다는 작가주관적인 생각)로서 버틴다고 생각했습니다.

이 모자를 정신병원에 가두지 않고 뭔가 대책을 마련하지 않는게
바로 감시입니다. 애정이 있었다면 격리를 강구하겠지요. 그것이
그 모자에 대한 예의였을 겁니다.
그러나 알려지면 집값 떨어진다고 쉬쉬하고
노파가 동네를 청소하는 것으로
방기하는 것은 바로 감시의 재미,관음증의 재미를
한껏 누리는 것에 불과하지요.
주인여자를 부정적으로 그린 것이 아니라
남편처럼 참을 수 없어 일탈을 할 수 밖에 없는
피해자로 그리고자 했는데 설득력이 부족했는가 보군요.

시와는 달리 소설제목은
그렇게 은유적일 필요가 없다는 게 저의
개인적 생각입니다.

서경애님 친절한 비평
제게 힘이 되었습니다.
TAG •
  • ,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목록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3 김상연님의 <말 그 너머에 사랑이 있다>를 읽고 인기글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12-15 1146
42 김상연님의 <들여다본다>를 읽고 인기글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12-01 1201
41 김상연님의 <월식>을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11-21 919
40 서경애님의 소요산 거미줄을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11-06 761
39 답변글 변명과 설득을 해보자면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9-12 878
38 답변글 허점 투성이, 부끄럽습니다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6-21 774
37 조우기님의 <가장의 한마디>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6-18 819
36 유자란씨의 <심청, 인당수에 뛰어들다>를 읽고 인기글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6-13 1022
35 차재희님의 <바다>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5-29 926
34 답변글 정정지님의 시 <그렇게 될 수만 있다면>에 대하여,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5-29 844
33 조우기님의 <가인아>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5-16 697
32 서경애님의 <절망>을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5-15 628
31 정정지님의 <바보엄마>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5-12 636
30 정정지님의 <아버님과 비둘기>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4-30 776
29 조우기님의 <과자봉지>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4-16 960
28 서경애님의 <탑골공원>을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4-11 842
27 김세현님의 <돌>을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2-05 442
26 김세현님의 <찻집의 창>을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1-29 606
25 김학원님의 <꿈 속 같이 깨어나는 나라가>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2-11-11 715
24 답변글 이제서야 고백할까요?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2-11-11 773
23 답변글 이진흥선생님의 조언에 힘입어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2-10-29 592
22 답변글 이도원씨의 소설[자개장롱이 있는 집]을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2-10-02 817
21 이영경님의 다섯 편 시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10-16 763
20 답변글 이도원님의 '불온과 감시'에 대한 짧은 소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10-16 605
» 답변글 작품 잘 봤습니다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10-08 685
18 금이정님의 <와송> -와송은 사바세계에도 있다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10-06 699
17 남금희님의 다양한 시도-탈출과 화해 사이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9-23 737
16 김미월님의 '죽장리에 눈 내리다'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9-17 617
15 박경화님의 <고백> <저, 아가에게>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7-29 611
14 서경애님의 <호수를 갖게 되었어요>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7-13 516
13 답변글 우리는 사자입니다!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7-05 753
12 답변글 양보라니요? 제가 생각이 모자랐습니다 이도원 이름으로 검색 2001-07-08 649
11 제 비평에 대한 쓴 비평 달게 받겠습니다. 이도원 이름으로 검색 2001-06-01 610
10 이진흥님의 질문에 답합니다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5-28 599
9 이진흥님의 <저녁놀>을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5-22 653
8 역시 스케일 큰 김세현의 <미포의 달을 마시다>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5-16 575
7 금이정씨의 힘일 겁니다 이도원 이름으로 검색 2001-04-27 559
6 금이정님은 대숲에서 무서운 비밀 하나를알게되었다 이도원 이름으로 검색 2001-04-25 565
5 이진흥님의 <잉게에게>를 읽고 이도원 이름으로 검색 2001-04-04 699
4 의미심장한 새 그러나 ...정정지씨의< 새>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3-31 644
3 답변글 김연순님의 <바다는 기억처럼>을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3-29 678
2 김연순님의 <바다는 기억처럼>을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3-28 621
1 <걸레의 노래>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3-22 615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