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흥님의 질문에 답합니다 > 작품을 읽고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작품을 읽고

|
01-05-28 22:22

이진흥님의 질문에 답합니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전 체 목 록
<답변1> 간절한 ,겸양을 드러내는 시는 바로 저녁놀 이다.
그가 가고 숨 죽인 매혹이 능선에 걸리고 어디로 사라졌을까 물으며 내 속에 굳건한 성채 하나를 둔다는 시어에서 난 시적화자의 간절함과 겸양을 보았다.
<겸양스러운 시>는 <저항할 수 없기 때문에 당혹스럽게 만든다>는 말은 자신을 낮춰 한 대상을 경외감으로 보는 시가 읽는 독자로 하여금 거북함을 준다는 뜻이다. 쉽게 말해 종교시의 경우 그렇다. 여기서 사라진 그는 신을 언급하지 않았을 뿐이지 의미상으로 보아 신 보다 더 굳건한 반석(성채) 위에 올라있지 않는가?
<그건 모든 시인이 불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란 말은 위에서 언급한 나의 비평이 자칫 마치 겸양하면 시가 안된다는 식의 일방적인 매도를 막아보고자 전술을 편 것이다. 정직하게 말하면 경의를 표현하지 않음이라는 뜻의 '불경'이 바로 시를 쓰는 기본 자세가 아닌가 하는 나의 의도를 우회하여 표현한 것이다. 바로 뒤에 나는 시적대상자를 공경하였을 경우, 시적완성도에 따라 경외감이 따르든지 편치않은 부담으로 따라온다고 하였다. 즉 불경할 필요는 없지만 무조건적인 공경은 시적완성도를 가져 오기 힘들며 독자를 힘 빠지게 한다는 말이다.

<답변2> 이건 이진흥님과 나의 노선의 차이 같다. 존재에 대한 탐구에 몰두한 시인에게 그건 탐구가 아니라 헌신이고 무조건적인 공경이라고 몰아부치는 격이 된 셈이다.
이진흥님은 이 <저녁놀>이라는 소품에서 시적긴장이라는 수사를 동원하여 대상에 대한 존재탐구가 아니라 대상을 경이의 눈으로만 볼 뿐이었다. 그래서 나는 시인이 사적인 감정을 강요하는 어미의 이기심과 닮았다고 말했던 것이다.

<답변3> 난 진혼의 배경으로 저녁놀이 이용되었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5행부터 마지막 행까지 사라졌던 대상의 배후에 저녁놀이 존재함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답변4> 나의 짧은 소품 안에 무슨 <봉헌>과 <경배>가 있는 지라고 이진흥님은 물었다. '봉헌'이라는 말은 물건을 바친다는 뜻이며 '경배'라는 말은 '존경하여 공손히 절을 함'이라는 뜻 이다. 여기서 난 화자가 저녁놀을 바치는 것으로 보았고 굳건한 성채를 자신 속에 넣는 행위를 경배로 보았다. 부러진 날개 퍼덕이며 사라진 그가 '저녁놀로 화한다'고 보아도 마찬가지이다.

<답변5,6> 남의 의견에 대하여 자기도 그러하다고 느낌이라는 의미인 '공감'이라는 말 대신에 두 사람 이상이 한 가지 것을 공동으로 가진다는 의미의 '공유'라는 단어를 썼다. 시란 단순히 공감의 차원이 아니라 시인의 시적체험을 함께 나누고 다시 재생산(의미의 공감과 의미의 확산)한다는 생각에서 공유라는 단어를 선택했다. 그 공유가 미진하기에 난 시인의 생각에 공감하지 않는다는 뜻에서 '깨춤'이라는 단어를 썼다. 깨를 까불 때의 깨의 동작을 '깨춤추다'라고 표현하는 것이 재미있어서 써 본 것이다. 원색적인 표현으로 들렸다면 죄송하다.
<헌사>라는 표현은 바로 위에서 언급했듯이 사라진 한 대상에 대한 경배의 뜻에서 썼는데 내가 의도한 것은 '헌화가' 이런 의미에서 였다. 사전을 찾아보니 헌사라는 말은 저자, 발행자가 그 책을 남에게 헌정하는 취지를 쓴 글이라고 나와있다. 정확한 단어를 쓰지 못한 점을 시인한다.

<답변7> 내가 말한 '공적인 영역의 깊이가 부재하다'란 것은 한 대상에게 매몰된 나머지 그 대상을 실체적이고 사회적인 인물로 그리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존재탐구가 사적인 영역의 얕음이라는 말은 아니지만 이 시에서는 지독한 존재탐구가 아니라 한없이 우러르는 가공할만한 대상만 남아있으므로 사적인 영역에 갇혀있다고 감히 말하는 것이다.


이진흥님은 시는 원래 비유의 언어이고 행간의 틈새가 넓기 때문에 독자(비평가)는 그 틈새를 자신의 상상력으로 메워가면서 읽는 창조적인 글읽기라고 말했다. 그러나 자신의 시적의도를 알아차리지 못하고 창조적으로 읽은 독자(비평가)에게 선입견을 가지고 있다, 의도를 가지고 읽어서 의도의 오류에 빠졌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자신의 시에 대한 배경이라든가 의도에 대해서는 말할 필요가 없다고 단언했다.
덧붙여 창조적인 글읽기는 독자나름대로의 논리(일관성) 와 언어의 보편성 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내가 좀 더 언어의 보편성 안에서 비평했드라면 과연 자신의 시세계에 대해, 이 아마추어 비평가에게 친절하게 설명해 주었을까?라는 의문이 든다.


일반적인 독자(비평가도 마찬가지)가 모두 논리적으로 ,언어의 보편성이라는 장비를 든 채 시를 읽고 비평하지는 못할 것이다. 또한 시인이 의사가 내는 처방전(의약분업이 실시된 이후엔 상황이 달라졌다. 처방전을 읽을 수 있다)을 고수해서는 시는 그 시인 개인의 전유물에서 벗어나기가 힘들 것이다.

<저녁놀> 이 시를 완벽하게 해독하기 위해 나는 언어의 보편성을 공부해야 하고 논리의 정확성을 기해야 하는 처지에 놓여있다. 어쩌랴 . 비평에 대해 설명이 아닌 질문으로 시인이 반격해 왔으니. 나의 답변에 대한 재질문과 답변을 아울러 부탁드린다.

TAG •
  • ,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목록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3 물빛 벗님들, 속삭여 주세요 초인별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7-06 706
72 금이정씨의 <우리는 사자입니다!>를 읽고, 인기글 이진흥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7-06 1012
71 답변글 금이정씨의 <우리는 사자입니다!>를 읽고, 금이정 이름으로 검색 2001-07-07 629
70 답변글 금이정씨의 <우리는 사자입니다!>를 읽고, 금이정 이름으로 검색 2001-07-07 660
69 우리는 사자입니다! 금이정 이름으로 검색 2001-07-05 904
68 답변글 나는, 사자가 아닌 유도화 잎사귀 메나리토리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7-05 801
67 답변글 나는, 사자가 아닌 유도화 잎사귀 금이정 이름으로 검색 2001-07-07 795
66 답변글 동문서답일지라도...... 메나리토리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7-07 832
65 시는 무엇으로 쓰여지는지...... 별빛꽃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7-04 876
64 답변글 시가 무엇으로 쓰여지다니요? 이진흥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7-04 928
63 답변글 그럼 저도 시인이란 말입니까? 야호~ 별빛꽃 올림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7-04 650
62 답변글 우리는 사자입니다! 인기글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7-05 1126
61 답변글 우리는 사자입니다! 금이정 이름으로 검색 2001-07-07 905
60 답변글 양보라니요? 제가 생각이 모자랐습니다 이도원 이름으로 검색 2001-07-08 852
59 답변글 금이정씨 글 잘 읽었습니다. 인기글 정정지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7-07 1059
58 답변글 금이정씨 글 잘 읽었습니다. 금이정 이름으로 검색 2001-07-07 854
57 곳간열쇠와 바뀌게된 손자 박경화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7-03 871
56 답변글 곳간열쇠와 바뀌게된 손자 정정지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7-03 786
55 (이응로 1,2,3 )을 읽고 금이정 이름으로 검색 2001-07-02 855
54 박경화 시인의 <그대 떠나고>에 대하여, 인기글 이진흥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7-01 1072
53 권영호시인의 <홍수지다>를 읽고, 이진흥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7-01 788
52 권영호님의 봄밤에 대하여, 이진흥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6-04 826
51 제 비평에 대한 쓴 비평 달게 받겠습니다. 이도원 이름으로 검색 2001-06-01 770
50 답변글 제 비평에 대한 쓴 비평 달게 받겠습니다. 이진흥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6-04 710
49 정정지님의 <동행>을 읽고, 이진흥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6-01 709
48 답변글 정정지님의 <동행>을 읽고, 정정지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6-02 695
47 이도원씨의 답변을 읽고, 인기글 이진흥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6-01 1040
46 서경애라는 이름의 나무에게 서경애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5-30 761
» 이진흥님의 질문에 답합니다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5-28 790
44 서경애라는 이름의 나무에게... 금이정 이름으로 검색 2001-05-28 696
43 답변글 서경애라는 이름의 나무에게... 정정지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5-30 710
42 이도원씨의 <저녁놀> 비평에 대한 대답과 질문 인기글 이진흥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5-28 1000
41 정정지님의 <화산>을 읽고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5-25 650
40 답변글 정정지님의 <화산>을 읽고 정정지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5-30 710
39 이진흥님의 <저녁놀>을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5-22 865
38 역시 스케일 큰 김세현의 <미포의 달을 마시다>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5-16 737
37 다시 읽어본 논문... 김홍숙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5-05 736
36 금이정씨의 힘일 겁니다 이도원 이름으로 검색 2001-04-27 728
35 고마우셔라 도원씨... 금이정 이름으로 검색 2001-04-27 842
34 신진영씨의 대숲을 기다리며 금이정 이름으로 검색 2001-04-27 777
33 대숲! 그걸 먼저 품어버리다니... 신진영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4-25 688
32 금이정님은 대숲에서 무서운 비밀 하나를알게되었다 이도원 이름으로 검색 2001-04-25 728
31 손희경씨의 <예감> 서경애 이름으로 검색 2001-04-23 664
30 김세현씨의 <가로수>에 대하여, 이진흥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4-17 940
29 답변글 김세현씨의 <가로수>에 대하여, 인기글 서경애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4-18 1126
28 서경애씨의 <낚시>를 읽고, 이진흥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1-04-16 876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