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현님의 <돌>을 읽고 > 작품을 읽고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작품을 읽고

|
03-02-05 09:16

김세현님의 <돌>을 읽고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전 체 목 록
마치 몸 속, 그것도 간이 타들어가는 듯한, 심리적 장애를 가장 많이 지배받는 간 속에 박혀있는 담석같은 돌이 시인에게는 서운하고 소중한가 보다. 그 돌이 빠져나간 자리에 다시 눈물로 굳어지는 돌에 대한 애착...목숨만큼 절절했던 상념과 고통의 응집된 돌을 시인은 머뭇대지 않고 생성해낸다. 빠져나간 돌도 다시 박힌 돌도 모두 시인의 강인한 힘, 강인한 애정으로 기꺼이 자리한다. 시인은 물리치지 않는다. 시인은 자리를 내어주고 그것을 관조한다. 시인은 여유있는 외로움으로 돌을 부른다. 참 좋은 시다.




네 속에 있던 돌이 빠져 나가고
내 속에 있던 돌이 빠져 나가고

그것은 무엇보다도
살과 함께 있었다는 소중함으로
서운하고
서운해서 적동빛 열매처럼
서운함이 말라가면

우리들 마음 속
습기찬 흔적으로 굳어오는
또 하나의 돌

때로는 목숨 만큼
피 붉었던 일도
바래어 가는 것
바랜 만큼
빈 아궁이로 남는 것
묵었던 꿈이 날아가
재가 되는 것

먼 아침
여윈 외로움에 눈 뜰때
앞산 이마 위
하얗게 부셔져 있는

TAG •
  • ,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목록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3 답변글 이제서야 고백할까요?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2-11-11 773
72 김학원님의 <꿈 속 같이 깨어나는 나라가>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2-11-11 715
71 답변글 이도원 님이 읽은 <꿈 속 같이 깨어나는 나라가>를 읽고 구름바다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2-11-26 523
70 김세현님의 <찻집의 창>을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1-29 606
» 김세현님의 <돌>을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2-05 441
68 김세현의 [중독자]를 읽고, 이진흥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2-08 899
67 딴죽님의 <폭설>을 읽고 굳센 난초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2-25 557
66 답변글 고맙습니다 딴죽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2-25 551
65 <늙은 후에야>를 읽고 굳센 난초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3-02 663
64 답변글 난초님이 읽으신 <늙은 후에야> 구름바다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3-05 629
63 서경애님의 <탑골공원>을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4-11 841
62 조우기님의 <과자봉지>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4-16 960
61 정정지님의 <아버님과 비둘기>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4-30 776
60 '가인아' 를 읽고. 서경애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4-30 753
59 답변글 정정지님의 <아버님과 비둘기>를 읽고 정정지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5-01 738
58 답변글 '가인아' 를 읽고. 조우기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5-02 695
57 답변글 정정지님의 .... 글은 현실의 직시,,, 김학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5-03 752
56 정정지님의 <바보엄마>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5-12 635
55 답변글 곧 바로 소감을 적어 주시니... 정정지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5-12 604
54 서경애님의 <절망>을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5-15 628
53 김학원 선생님의 [아침]을 읽고, 이진흥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5-15 824
52 답변글 김학원 선생님의 [아침]을 읽고, 김학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5-15 620
51 답변글 서경애님의 <절망>을 읽고 서경애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5-15 621
50 조우기님의 <가인아>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5-16 697
49 답변글 조우기님의 <가인아>를 읽고 조우기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5-17 647
48 은장도님의 [窓]을 읽고, 이진흥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5-20 868
47 이상(2商)님의 작품 [산과 노을]을 읽고, 이진흥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5-22 926
46 정정지님의 시 <그렇게 될 수만 있다면>에 대하여, 이진흥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5-29 952
45 답변글 정정지님의 시 <그렇게 될 수만 있다면>에 대하여,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5-29 844
44 차재희님의 <바다>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5-29 926
43 답변글 정정지님의 시 <그렇게 될 수만 있다면>에 대하여, 정정지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5-30 768
42 답변글 정정지님의 시 <그렇게 될 수만 있다면>에 대하여, 정정지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5-30 621
41 유자란님의 <심청 인당수에 뛰어들다>를 읽고 인기글 정정지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6-09 1145
40 답변글 유자란님의 <심청 인당수에 뛰어들다>를 읽고 굳센 난초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6-11 686
39 유자란씨의 <심청, 인당수에 뛰어들다>를 읽고 인기글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6-13 1018
38 답변글 허걱!!! 딴죽의 칭찬이???? 굳센 난초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6-16 626
37 조우기님의 <가장의 한마디>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6-18 817
36 답변글 조우기님의 <가장의 한마디>를 읽고 조우기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6-18 682
35 이도원님의 폭설(드라마)를 읽고 정정지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6-21 825
34 답변글 허점 투성이, 부끄럽습니다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6-21 774
33 이도원의 소설 [내 생의 자명종]을 읽고, 인기글 이진흥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9-09 1319
32 답변글 변명과 설득을 해보자면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09-12 878
31 서경애님의 소요산 거미줄을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11-06 761
30 답변글 거미줄 한 줄의 의미는... 서경애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11-11 826
29 적막한 가을밤의 산사 묘사가... 차재희님 묘각사를 읽고 서경애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11-12 907
28 묘각사를 읽고 미소년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3-11-14 773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