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애님의 <탑골공원>을 읽고 > 작품을 읽고

본문 바로가기
|
03-04-11 06:41

서경애님의 <탑골공원>을 읽고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목    록  
탑골공원은 노인들의 유일한 광장이다.
일제의 폭압을 벗어난 환희를 만끽하던 그 곳,
이제 그 곳은 그저 희망도 미래도 없는
사회에서 가장 소외된 계층인 노인들의 유일한 해방구일 뿐이다.
그들은 어쩔 수 없이 이곳으로 흘러들어온다.
그곳의 무료급식소 풍경이 한 눈에 들어온다.
여기서도 철저히 약육강식의 원칙이 지켜진다.
<예수를 믿으세요>
이 메시지는 탑골공원의 유령처럼 오가는 노인들에겐
구원의 목소리가 아니라 그저 연극무대의 소품처럼 , 음향기기처럼
전락될 뿐이다.

'스펄 거지도 먹고 살아얄 것 아냐'
'스펄 먹고 사는 것들은 주고'

이 쓸쓸하고 허무한 욕설은 무자비한 삶의 부당성을
정면으로 드러낸다.
그래서 이 욕설은 욕설이 아니게된다.
생존을 위한 절실한 요구이고 저항이다.
그들의 힘없는 목소리는 칼바람에 스러지지만
그래도 이 분노만이 유일한 희망일뿐.
그들은 이 분노의 힘으로,
이 탑골공원으로 들어오는 것이다.

이 시에서 이해가 가지않는 대목은 바로 마지막 행이다.
주註를 달지않아 웅*그룹의 정체를 정확하게 모르겠다.

'웅*그룹은 사기집단 주부들의 피를 빨아먹는 모기'
등빨좋은 청년이 온몸에 글을 휘감고 서성인다

서경애님의 시세계의 변화가 놀랍다.
또한 완벽하게 정황을 묘사하는
현미경같은 시선이 전혀 비정하게 보이지 않는다.
가장 낮은 자리에 서 있는 무리들에게
가장 낮은 시선으로 다가서는 시인의 눈은, 가슴은,손은
무책임하게 느껴지지 않는다.
냉소의 자리에 연민이 내려앉아서일까.
무시하지 못할 연민의 힘이 느껴진다.
서경애님의 연민이야말로
이 탑골공원의 유일한 빛이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TAG •
  • ,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목록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3
김상연님의 <말 그 너머에 사랑이 있다>를 읽고
인기글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2-15
1150
42
김상연님의 <들여다본다>를 읽고
인기글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2-01
1205
41
김상연님의 <월식>을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1-21
922
40
서경애님의 소요산 거미줄을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1-06
763
39 답변글
변명과 설득을 해보자면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09-12
881
38 답변글
허점 투성이, 부끄럽습니다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06-21
777
37
조우기님의 <가장의 한마디>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06-18
829
36
유자란씨의 <심청, 인당수에 뛰어들다>를 읽고
인기글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06-13
1028
35
차재희님의 <바다>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05-29
930
34 답변글
정정지님의 시 <그렇게 될 수만 있다면>에 대하여,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05-29
847
33
조우기님의 <가인아>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05-16
698
32
서경애님의 <절망>을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05-15
629
31
정정지님의 <바보엄마>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05-12
637
30
정정지님의 <아버님과 비둘기>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04-30
777
29
조우기님의 <과자봉지>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04-16
962
»
서경애님의 <탑골공원>을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04-11
845
27
김세현님의 <돌>을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02-05
443
26
김세현님의 <찻집의 창>을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01-29
608
25
김학원님의 <꿈 속 같이 깨어나는 나라가>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1-11
716
24 답변글
이제서야 고백할까요?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1-11
775
23 답변글
이진흥선생님의 조언에 힘입어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0-29
593
22 답변글
이도원씨의 소설[자개장롱이 있는 집]을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0-02
818
21
이영경님의 다섯 편 시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0-16
765
20 답변글
이도원님의 '불온과 감시'에 대한 짧은 소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0-16
608
19 답변글
작품 잘 봤습니다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0-08
685
18
금이정님의 <와송> -와송은 사바세계에도 있다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10-06
699
17
남금희님의 다양한 시도-탈출과 화해 사이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09-23
738
16
김미월님의 '죽장리에 눈 내리다'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09-17
619
15
박경화님의 <고백> <저, 아가에게>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07-29
613
14
서경애님의 <호수를 갖게 되었어요>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07-13
516
13 답변글
우리는 사자입니다!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07-05
755
12 답변글
양보라니요? 제가 생각이 모자랐습니다
이도원 이름으로 검색
07-08
651
11
제 비평에 대한 쓴 비평 달게 받겠습니다.
이도원 이름으로 검색
06-01
611
10
이진흥님의 질문에 답합니다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05-28
603
9
이진흥님의 <저녁놀>을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05-22
653
8
역시 스케일 큰 김세현의 <미포의 달을 마시다>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05-16
576
7
금이정씨의 힘일 겁니다
이도원 이름으로 검색
04-27
560
6
금이정님은 대숲에서 무서운 비밀 하나를알게되었다
이도원 이름으로 검색
04-25
566
5
이진흥님의 <잉게에게>를 읽고
이도원 이름으로 검색
04-04
701
4
의미심장한 새 그러나 ...정정지씨의< 새>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03-31
650
3 답변글
김연순님의 <바다는 기억처럼>을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03-29
678
2
김연순님의 <바다는 기억처럼>을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03-28
624
1
<걸레의 노래>를 읽고
이도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03-22
616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Copyright © mulbit.com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