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못하는 기도/ 조르바(895회 토론용 시) > 토론해봅시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토론해봅시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전 체 목 록

말 못하는 기도

 

 

                                     조르바 

 

네 첫사랑은 어디 갔냐고

묻지 말아 주세요

울먹이는 타령도 기도일 수 있다면

망연히 허공을 떠도는 제 눈길

받아주세요

 

느티나무 잎새를 파고드는 바람결

당신이 기다리고 계신다 합니다

일어서라 하시는 그 전갈은

첫사랑보다 묵직한 사랑의 죽비겠지요

눈을 감아야 눈 뜰 수 있다는

잃어버려야 찾을 수 있다는

 

하지만 더 기다려 주세요

무디게 당신 속 태우고 늦게 알아듣고 싶은

청맹과니의 억장을

 

저만치 어둠에 돌을 던져 봅니다 

 

                                     


TAG •
  • ,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 ?
    제895회 물빛 시 토론 (2021.4.27.화) 저녁7시~9시 T그룹통화

    말 못하는 기도 / 남금희 

    -3연 청맹과니의 억장-
     청맹과니는 겉으로는 멀쩡해 보이나 실제로는 앞을 보지 못하는~
     억장은 가슴을 말하는데 여기서 억장은 어떤 뜻으로 썼나  (목련)

    -억장이 무너진다 눈도 못 보고 가슴도 미어지고~
     신앙시다 
     요한계시록 첫사랑을 잃어버렸습니까? – 발상했다  (조르바)

    -신앙시 쪽이라 그러한지 평소의 시보다 감정이 좀 많이 드러났다
     신앙시라 원래 쓰던 시보다 매력이 덜 하다
     4연 저만치 어둠에 돌을 던져 봅니다 - 시적으로 참 좋았다
     2연 5행~6행 – 없어도 되겠다
     비유가 너무 흔한 비유 같다 흔한 것들이 많이 들어있다
     첫사랑이란 말을 안 안하고 첫사랑을 나타냈으면
     신앙적인 것이 안 느껴졌으면 훨씬 좋은 시가 된다  (서강)

    -제목이 제일 좋았다
     제목을 읽으니 가슴이 막힌다
     기도인데 말을 못하는 기도
     2연 이해를 잘 못하겠다
     말 못하는 기도였다면 마음을 다 드러내지 말고
     예) 교회의 피아노 같은 검은 색깔이 자기를 비추는 모습 같은 것을
     말없이 묘사해 나갔으면,
     기도가 얼마나 절실했는지를 드러냈으면 더 좋지 않겠나 (하이디)


    -이오타 교수님:
     제목이 애매했다
     기도란 말하고 관계 없이 될 수 있다
     중의적인 의미가 있어서 어려웠다

     말로 못하는 기도란 뜻인가?
     말 못하는 사람 - 벙어리 (사람이 말을 못하는 상태)
     기도는 기도인데 말할 수 없는 기도
     말로는 표현할 수 없는 기도
     
     1연 잘 읽혔다
     화자가 신에게 하는 말

     2연을 두 행씩 읽으면 연결이 약간 이상하다
     1-2행 기다린다
     기다림의 전갈, 끊임없이 기다리는 하나님의 사랑 – 돌아온 탕자
     
     3-4행 일어서라
     일어서라는 전갈 ~ 1-2행과 다른 전갈
     표현되어 있는 시에는 독자들이 보기에는 느닷없이 나타났다

     5-6행 전갈, 내용 중에 있어야 할 말
     독자로서는 예상치 못한 말들이 나온 것 같다

     3연 알아듣고 싶은  → 알아듣는
     말이 겉으로, 겉말이 눈에 띈다
     
     4연 저만치 어둠에 돌을 던져 봅니다~
     이 말 하나로 전체가 다 된 것 같다
     느낌이 굉장히 좋았다

     전체적으로 조르바 선생의 시는 이미지로 전환되기 전의 의미
     익지 않은 의미, 생 의미와 익힌 의미 이미지가 서로 같은 계급으로 혼돈되어 있다
     그래서 읽을 때 이해가 안 올 때가 있겠다
     
     시 공부할 때 신앙시를 쓰지 말라 라는 얘기도 있다
     기도 – 신에게 엎드려 굴복하고 다가가는 것
     시, 예술 – 대체로 뛰쳐나가는, 신앙의 반란, 신에 대한 반항

     신앙적인 시로 독자들에게 전달하려면 어려움이 있다
     신앙적인 언어와 충돌할 여지가 있다

     신앙시이지만 예술작품으로 성공하려면
     겉으로는 아닌 것 같이 느껴질 때, 멋지지 않겠나
     ~하시옵소서와 같은 기도문이 편리해질 때가 있으나
     시 속에 깊이 들어갈 때는 방해가 되기도 한다

    *1연 기다림에 대한 예)
    소설 싯달타 – 카말라의 질문에 싯달타의 대답
    나는 사색할 줄 안다 나는 기다릴 줄 안다 나는 단식할 줄 안다
    나는 시를 쓸 줄 안다
    기다린다 는 건 굉장한 것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목록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49 황국 2 수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10-26 345
748 회초리가 필요하다 / 정정지 1 목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05-10 344
747 죄송합니다. 저도 ^^ 카타르시스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12-11-24 343
746 긴 한 줄 / 전 영 숙((903회)토론 작 1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8-24 342
745 바람의 초대 / 곽미숙 (898회 토론용 시) 1 침묵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6-08 340
744 노란 감옥 / 전 영 숙 (907회 토론작) 1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10-26 340
743 둥근 속 1 하이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12-28 339
742 12월 / 전영숙(911회 토론작) 1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12-28 339
741 아직도 꽃이다 / 정 정 지 1 목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3-28 339
740 강보를 펴 보다 1 목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7-27 338
739 답변글 샛길에 서서 추임새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6-10-02 336
738 황혼을 읽고 신상조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6-02-12 335
737 에메랄드 호수 1 돌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3-22 335
736 잘 키우세요 1 하이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6-08 335
735 그녀의 나비 2 꽃나비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2-28 335
734 35집 원고 - 전영숙 서강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18-10-01 334
733 답변글 무제를 읽고서 추임새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6-03-21 333
» 말 못하는 기도/ 조르바(895회 토론용 시) 1 조르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4-27 332
731 1 하이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5-25 332
730 누구보다 그대를 사랑합니다 1 꽃나비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4-11 329
729 물빛25집 시 올립니다 추임새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8-10-28 328
728 답변글 강촌을 읽고- 김학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6-04-15 327
727 나의 도장 (물빛 37호 예비 원고) 돌샘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20-08-02 327
726 물의 뿌리 / 전영숙 (토론용 시) 1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4-27 327
725 패총(貝塚) 여호수하 2 박수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7-13 327
724 물빛 28집 원고 이경순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11-11-14 326
723 교수님의 시집 <어디에도 없다>에 관한 서평 원고 조르바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18-10-25 326
722 건기의 벌판 / 전 영 숙 (910 회 토론작) 1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12-14 326
721 어떤 선물 1 해안1215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7-27 325
720 38집 원고 7편-남금희 1 조르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10-17 325
719 달리아 필때 1 해안1215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12-28 323
718 34집 원고 -곽미숙 해안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17-10-30 322
717 가을밤 김상연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5-10-17 321
716 답변글 발췌 메나리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7-04-20 321
715 흙피리(시) 온소리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7-06-05 320
714 어찌 할 수 없는 일 1 목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8-10 320
713 생활의 상자 1 하이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2-09 318
712 길을 잃는 날들 (894회 토론용 시) 1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4-13 317
711 고향 • 2 미소년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5-11-14 316
710 안부 (930회 토론작) 1 하이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0-11 315
709 멀고도 가까운/ 이규석 1 cornerle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1-08 315
708 답변글 관객의 성원을 바라시나요? 메나리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7-06-08 311
707 고향 미소년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5-11-14 309
706 독서노트/《발칸의 장미를 내게 주었네》 신상조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7-05-16 309
705 아버지의 부챗살 1 해안1215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9-28 309
704 답변글 아! 메나리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7-01-24 308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