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메랄드 호수 > 토론해봅시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토론해봅시다



      에메랄드 호수

                                                    돌샘  이재영

호수 위엔  바람 한 점 없고

물은 청록, 하늘은 청남 대비

티 없이 맑고 고요하다

내 마음도 저 하늘, 저 호수``````,

 

두 아들 며느리와 딸, 집사람

함께 호반 둘레길 걷는다

3m 산에서 흘러온 물빛 연두 색

속은 거울로, 수십m 속까지 투명하다

 

빙산이 녹은 물, 맑고 차서 벌레도

식물도 살 수 없는 죽음의 호수가

어찌 저렇게도 아름다움의 극치(極致),

! 여기가 신선이 사는 선계(仙界)인가``````,

 

상봉에 걸린 하얀 구름 타고 하늘 위에

두둥실 떠올라 호수 위에서 맴돌다가

호수 속에 담기기도 하며, 다시 떠올라

빙산 위에 걸려 구름처럼 바람처럼 떠도는

 여기 구름이 될래요, 바람이 될래요

 

2916.10.16. 캐나다 에멜랄도 호반에서


TAG •
  • ,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 ?
    제893회 물빛 시 토론 후기 (21.3.23.화) 7시~9시 (T그룹통화)

    에메랄드 호수 / 이재영

    시가 따뜻하다
    에메랄드 호수를 보며 어떤 느낌이 들었나?
    시원하고 기분이 좋았다
    시적인 느낌이라고 생각했나?
    풍경은 잘 묘사했으나 시적인 것과는 멀다
    수필에 가깝다

    옛날 시처럼 내용을 전체적으로 읽고 느낌이 오면 된다고 썼다
    옛날 시도 김소월의 시와 같이 좋은 시가 있다
    호수 전경은 본 듯이 묘사되었으나 너무 상세하다
    그래서 독자의 상상 공간이 크지 않다
    4연이 시에 가깝다고 생각된다

    제목에서 에메랄드는 맑고 투명하고 들여다볼수록 신비롭다
    신비로움에 가닿을 수 있도록 쓰면 좋겠다
    시가 따뜻하고 행복한 분위기는 느껴지나
    신비로움에 가닿는 데는 안 된 것 같다


    교수님:
    너무 평면적이다 가로 세로는 있는데 높이가 없다
    입체화 되어야 한다
    2연 두 아들 며느리와 딸, 집사람 – 정확하게 하는 것이 산문적
    정서적인 마음 움직임은 안 된다

    김소월의 산유화 - 산에는 꽃 피네 꽃이 피네~ 꽃 지네 꽃이 지네
    자연에 순응하는 원리, 순환적 질서, 봄 여름 가을 겨울
    저만치 혼자서 – 보는 사람 대상 거리가 떨어져 있다
    인간과 자연과의 거리를 잘 드러낸다. 나와 너의 거리
    계절의 순환 원리, 삶의 인생살이 — 짧은 시 속에서도 느낄 수 있다

    3연 어찌 저렇게도, 아!,  신선, 선계~
    감정의 과잉 노출, 신파극 보는 것처럼 떨어진다
    현대시는 감정 절제가 중요
    현대시는 읽는 시 - 리듬 보다 이미지
    시를 감상하는데 걸림이 된다
    독자들이 보기에는 거리가 생긴다

    가족의 죽음으로 예를 들어보면
    땅을 치고 눈물을 흘리는 것보다 울음을 삼키는 것이 더 슬프다

    김소월의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삶의 태도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목록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89 위장전입/ 조르바(900회 시 토론) 2 조르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7-13 381
788 890회 토론용 시ㅡ겨울 연가/조르바 1 조르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2-08 380
787 창문이 있던 벽의 흰자리 1 하이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3-09 379
786 37집 원고(정해영) 하이디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20-10-29 378
785 889회 시 토론ㅡ찡긋 웃는다/하이디님 1 조르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1-26 378
784 아프로디테 1 이오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7-13 377
783 포도송이를 손으로 딸 때 1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3-09 376
782 산사(山寺)에서 1 돌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6-21 374
781 동인지에 올릴 작품입니다. 이재영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10-10-31 370
780 줄 / 전영숙 (897회 토론작) 1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5-25 370
779 연가 김상연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5-11-26 369
778 중앙로역 / 이규석 1 cornerle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11-09 368
777 889회 시 토론ㅡ 빅 브라더/조르바님 1 조르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1-26 367
776 마르지않는 샘 1 목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3-09 367
775 새 게시판을 엽니다 오즈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5-09-24 366
774 갯벌 때때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12-11-23 366
773 무제 신상조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6-03-20 365
772 36집 원고 / 곽미숙 서강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19-10-19 365
771 김상연 씨의 [봄날]을 읽고, 이오타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6-05-18 363
770 컴퓨터 그리고 반란 (詩)_1차퇴고 온소리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7-06-05 363
769 가면을 벗기다 돌샘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12-07-14 363
768 어디쯤 가고 있니 1 하이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12-14 363
767 초대한 적 없는 / 전 영 숙 (896회 시 토론작) 1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5-11 362
766 2008년 물빛 출품작 / 김학원 구름바다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8-11-01 361
765 변명(시) 신상조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7-08-20 359
764 업보 / 이재영 (896회 토론용 시) 1 침묵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5-11 359
763 말이 시시하다 1 하이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0-25 359
762 또 그렇게 잊혀지고 / 곽미숙 (894회 토론용 시) 1 침묵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4-13 358
761 38집 원고(이규석) 1 cornerle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10-14 358
760 답변글 휴~ (읽기 전에 심호흡) 메나리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7-07-06 355
759 물빛 29집 원고입니다 정금옥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12-11-14 355
758 34집 원고 ㅡ 정지연 정지연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17-10-27 354
757 35집 원고 돌샘 이재영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18-10-19 353
756 엄마의 그늘 / 고미현 (924회 토론작) 1 침묵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07-11 353
755 부처 님 오신 날 1 돌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5-25 352
754 그 강변 수양버들에게 1 꽃나비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3-13 351
753 낯선 향기 착한 여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5-10-03 349
752 기다리는 마음 / 이규석 1 cornerle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07-26 349
751 고추는 왜 매운가 / 이규석 -> 고추는 무죄 3 cornerle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9-28 348
750 제비 돌아온 날 / 이규석 1 cornerle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05-10 346
749 휴식(休息)/이재영 (890회 토론 시) 1 침묵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2-09 345
748 황국 2 수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10-26 345
747 제938회 물빛 정기 시토론회/ 때가 있다/ 조르바 1 조르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2-14 345
746 마음을 주다 1 하이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8-10 343
745 귀뚜라미 / 정정지 목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10-12 343
744 긴 한 줄 / 전 영 숙((903회)토론 작 1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8-24 342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