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텃밭 > 정겨운속삭임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겨운속삭임

|
11-01-26 23:23

나의 텃밭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전 체 목 록
나의 텃밭

돌샘 이재영

나의 집 앞에는 대공원이 있다. 내가 처음 이 산을 오를 때는 공원 부근에 아파트도 없었고 산에 올라오는 사람이 극히 드물었다. 그러나 나는 새벽과 저녁 무렵 진도견을 데리고 산을 매일 한 바퀴 돌았다. 그 것으로 심신의 건강은 항상 최상의 상태를 유지했다. 산에 공지가 많아 너도나도 나무가 없는 곳에 땅을 파서 밭을 만들었다. 대부분 조그마한 채전이나 많은 사람은 이삼백 평이다. 감자, 고구마, 체소를 심어서 팔기도 했다. 그래서 뒷북을 치는 나도 뒤늦게 산비탈에 계단식으로 20여 평 밭을 만들었다.

거기에 고추, 파, 부추, 열무, 배추, 상추, 우엉, 호박 심어 밥상이 항상 푸짐하게 자급자족했다. 특히 어린 열무와 배추는 큰 그릇에 담고 보리, 쌀, 상반지기 밥 놓고 고추장 된장 놓은 후 참기름 둘러 비벼 놓으면 언제 넘어갔는지도 모르게 마파람에 게눈 감추듯 밥 한 그릇 뚝딱 비운다. 주변에 아파트가 많이 생기고 산에 오는 사람이 많아졌다. 이 공원이 대공원으로 지정된 후 운동시설과, 의자와, 정자를 갖추기 시작하면서부터 일체 농사를 못 짓도록 단속했다.

텃밭을 잃고 나니, 생활에 즐거움을 잃고 밥맛이 없었다. 그때 나의 집 바로 앞에 난을 키우던 사람이 그 집을 헐고 풀밭으로 버려져 있었다. 누가 샘물이 있는 요지에 밭을 100여 평 일구어 채소를 가꾸기에 나도 내 집 바로 앞에 여러 이웃들과 함께 10여 평 밭을 만들었다. 집사람은 오염 된 땅이라며 적극 반대했다. 그러나 밭에 열무, 배추, 상추, 부추, 우엉을 심고 둘레엔 말뚝을 박고 줄을 맨 후 양대 심어 벋어나는 줄기를 올렸다. 가물 때는 물을 주니 잘 자랐다. 밭은 작아도 산에 있을 때 보다 수확양이 많다. 집사람은 거기 체소는 안 먹겠다고 반대하더니 나보다 더 열심히 잘 가꾸었다.

옛 선비들도 채전을 가꾸었다 하더니 나의 텃밭은 생활에 즐거움을 주는 활력소가 되었다. 그러나 여기는 시유지라 이삼 년 후 주차장을 만들었다. 그 후부터 내 텃밭은 영영 없어졌다. 세월 흘러 정년퇴직을 하고 허리디스크와 무릎 관절염으로 건강을 잃고 짚 앞 공원 산행마저 끊었다. 내가 평생 범어동을 떠나지 못한 것도 대공원 산이 좋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산에 오르지 못하니 낙이 없었다. 건강이 회복된 상태는 아니지만 지팡이를 두 개나 짚고 다니면서 채전 터를 물색하려고 눈독을 드리고 다녔다. 이젠 원채 단속이 심해 공원 안에는 엄두도 못 낸다. 그러나 한 군데 두어 평 빈터를 발견했다.

바로 산 밑에 있는 공공건물 담장 밖에 있는 아카시아 나무를 관리인들이 다 베어낸 너 다섯 평 공지가 있었다. 돌무덤과 바위라 아무도 땅이 되리라고 생각지 않았다. 여기는 사람통행도 드물고 관여할 사람도 없는 곳이다. 여기를 쫏아 텃밭을 만들 결심을 굳혔다. 뾰족한 외발 쇠스랑을 사가지고 가서 마대를 펴놓고 앉아 바위를 쫓기 시작했다. 이외로 바위는 푸석한 돌로 잘 갈라졌으나 석벽은 찍은 흉터만 남길 뿐 손바닥만 물어뜯었다. 바위가 부서진 돌은 언덕 끝에 놓고 쌓아올려 둑을 만드니 밭이 넓어졌다. 하루를 하고나니 손에 물집이 생기고 쓰렸다. 손은 만신창이로 얼룩졌다.

그러나 고통 없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이만한 고통쯤은 각오했기 때문에 참았다. 일주일을 하고나니 장갑을 꼈는데도 온 손바닥이 터지고 물집으로 말이 아니었지만 조그마한 텃밭 하나가 완성되었다. 몇 번이나 포기하려 하다가, 땅은 거짓말 하지 않는 다는 선인들의 진리를 굳게 믿고, 땀방울로 이루어 낸 결과라 보람 더욱 컸다. 일체유심조(一切 唯心造)라 하더니, 매사는 마음먹기에 달렸다는 평범한 진리를 체험으로 실천했다. 궁하면 통하고 두드리면 문이 열린다는 진리의 말씀도 내리를 치며 와 닫는다.

이튼 날부터 많은 잔돌을 며칠 골라냈다. 그래도 밭은 여전히 돌이다. 골을 깊게 파고 산에 낙엽 썩은 것을 끌어다 넣고 묻었다. 몇 차래 이렇게 했으나 부식이 완전히 되지 않고 감음 탓인가 지렁이가 생기지 않는다. 지렁이가 생겨야 땅이 좋아진다. 이것이 썩은 듯하여 복합비료와 요소를 뿌리고 열무, 배추, 상추, 부추, 우엉, 양대, 고추, 들깨를 심었다. 그러나 가음으로 씨앗 값만 낭비했다. 가을에 비가 와서 열무와 배추를 심어 한 두 차래 잘 먹었지만 첫해는 노력의 대가를 얻지 못했다.

금년에는 초봄에 봄비가 자주 와서 열무와 상추는 두어 차래 잘 먹었다. 늦봄부터 한참 가물어 아무것도 자라지 않는 데도 옆에 조그마한 인공샘이 있어 물을 퍼서 주었더니 보드라운 열무와 배추는 값이 금값일 때 잘 먹었다. 이런 채소가 있으면 다른 반찬이 필요 없다. 한여름 나물이 없을 때는 양댓잎, 우엉잎, 뜰깻잎과 고추가 이삼일 도리로 나와 효자노릇을 톡톡히 했다. 양댓잎과 우엉잎은 각각 특유한 맛으로 상추와 배추쌈과는 색다른 맛이 일품이다. 땅은 결코 배반하지 않는다는 옛 선인들의 말씀을 몸소 체험한다. 땅은 노력한 만큼 대가(代價)를 반드시 준다는 선인들의 진리를 가슴깊이 새기기도 한다. 나는 아파트생활이 싫다. 전원주택에서 여러 종 과일나무 심고 채전에서 마음을 가꾸면서 살리라.

*마파람(麻風): 남쪽에서 불어오는 바람
*마파람에 게눈 감추듯: 음식을 빨리 먹는다는 뜻


TAG •
  • ,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목록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669 대화 카타르시스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14-04-06 887
6668 문인수선생님 전화로 인사말씀 보내오셨습니다 하이디 이름으로 검색 2009-12-29 886
6667 특강을 듣고 카타르시스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14-08-21 886
6666 답변글 그만 매화가 피었습니다 두칠이 이름으로 검색 2019-03-06 886
6665 711회 정기모임 후기 메나리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13-01-23 884
6664 이문재````````````지금 여기가 맨 앞 우주 이름으로 검색 2015-09-07 882
6663 답변글 가창 정대리 <루소의 숲> 침묵 이름으로 검색 2006-08-11 881
6662 허브 -구현우- 카타르시스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14-10-11 881
6661 내일은 물빛 정기모임입니다 카타르시스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14-11-10 880
6660 오늘은 제 791회 물빛 정기모임입니다 로즈윈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16-05-24 880
6659 미소년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9-02-12 879
6658 정월대보름 달을 기다리며(2월 21일 영남일보 문화산책) 메나리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13-03-22 879
6657 모임 후기 추임새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6-02-09 878
6656 답변글 김병률의 <당신이라는 제국> 하이디 이름으로 검색 2009-02-06 878
6655 답변글 마당의 풀만 메다 죽다 두칠이 이름으로 검색 2014-04-18 878
6654 전북중앙일보 신춘 시 당선작 미소년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7-01-02 877
6653 오즈님께 카라 이름으로 검색 2005-10-06 876
6652 미지근에 대하여 (박정남) 목련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18-09-18 874
6651 일본의 사회질서 ㅡ 권종웅 로즈윈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11-08-09 872
6650 제 791회 물빛 정기모임 후기 로즈윈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16-05-25 872
6649 오늘은 953회 물빛 시토론 날입니다 서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9-26 872
6648 오늘은 물빛정기 모임입니다. 카타르시스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14-02-25 871
6647 답변글 두서 없이 씁니다. 하이디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17-12-25 871
6646 국화 향기 속에 돌샘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10-04-20 870
6645 유희옥 님, 회원이 되심을 환영합니다. 메나리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5-10-13 869
6644 답변글 이봐, 오늘 내가 / 김언희 착한 여자 이름으로 검색 2006-10-26 869
6643 답변글 메나리님, 한해 동안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추임새 이름으로 검색 2005-12-29 866
6642 커피와 녹차 이재영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13-08-14 866
6641 답변글 봄 나물 목련 이름으로 검색 2018-02-09 866
6640 2005 경산예술제 김상연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5-10-10 864
6639 평주 선생님!! (가산산성 물빛산행사진 석 장) 침묵 이름으로 검색 2006-05-31 864
6638 물빛 4월 산행 맥가이버 이름으로 검색 2006-04-14 863
6637 답변글 수고가 많으신 두 분께^^ 착한 여자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6-05-03 863
6636 세븐업(7-UP) - 나이 들어 대접받는 7가지 비결 이오타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6-07-13 860
6635 영화 1 - 쌍화점- 카타르시스 이름으로 검색 2009-01-22 860
6634 나의 첫 작품 돌샘 이재영 이름으로 검색 2012-02-15 860
6633 능소화 지는 밤 (박경화) 목련 이름으로 검색 2015-06-17 860
6632 제816회 물빛 정기모임후기 하이디 이름으로 검색 2017-06-13 860
6631 달팽이집이 있는 골목(고영) 하이디 이름으로 검색 2009-12-12 859
6630 답변글 정정지 시인 <방파제> 출판기념회7 침묵 이름으로 검색 2013-05-29 859
6629 답변글 오춘기 두칠이 이름으로 검색 2006-01-04 858
6628 비밀 일기 추임새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6-01-17 858
6627 오늘은 제 790회 물빛 정기모임입니다 로즈윈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16-05-10 858
6626 답변글 다 나았어요^^ 카타르시스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14-12-25 857
6625 내일은 829회 물빛 정기모임 입니다 서강 이름으로 검색 2018-01-08 857
6624 2008신춘문예 당선작 모음 이창윤 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2008-01-10 855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상단으로